홈으로

신안군소개

읍면안내

안좌면

마을유래(연혁)

안좌면

금산리

연혁

  • 1896년 행정구역 개편 시 기좌면이라 하여 지도군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지도군의 폐지로 무안군에 편입됨
  • 1917년 기좌면에서 안좌면으로 개칭함
  •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됨

형성

  • 1650년 원주이씨 이상만이 이주 정착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

지명유래

  • 지형이 거문고형이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금산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

금산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마을명, 형성년대, 입도성씨(입도조), 전거주지 및 경유지, 마을의 지명유래로 구성된 표입니다.
마을명 형성년대 입도성씨(입도조) 전 거주지
및 경유지
마을의 지명유래
금산(芩山) 1650년경(효종대) 원주이씨(이상만) 해남(마산) 지형이 거문고형이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제섬 1850년경(철종대) 금성임씨(임분돌) 안좌도(대척) 지형이 돼지형이라 하여 저도(猪島)라 부르다가 이후 제섬이라 개칭하였다.

탄동리

연혁

  • 1896년 지도군 안창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탄동리라 하여 무안군 안창면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10월 안좌면에 편입
  •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

형성

  • 1650년경 원주이씨 이상환이 이주․정착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

지명유래

  • 숯을 굽던 골짜기라 하여 전에는 숯고랑, 숯골이라 부르다가 이후 한자어로 표기시에 탄동이라 하였다.

탄동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

탄동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마을명, 형성년대, 입도성씨(입도조), 전거주지 및 경유지, 마을의 지명유래로 구성된 표입니다.
마을명 형성년대 입도성씨(입도조) 전 거주지
및 경유지
마을의 지명유래
탄동(炭洞) 1650년경(효종대) 원주이씨(이상환) 해남(마산) 숯을 굽던 골짜기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산두리

연혁

  • 1896년 지도군 안창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여흘리 일부를 합하여 산두리라 하여 무안군 안창면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안좌면에 편입
  •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에 편입

형성

  • 1800년경 전주이씨 이영득이 이주․정착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

지명유래

  • 지형이 말(斗)의 형국이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산두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

산두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마을명, 형성년대, 입도성씨(입도조), 전거주지 및 경유지, 마을의 지명유래로 구성된 표입니다.
마을명 형성년대 입도성씨(입도조) 전 거주지
및 경유지
마을의 지명유래
산두(山斗) 1800년경(정조대) 전주이씨(이영득)
밀양박씨, 경주이씨
해주최씨
안좌도(소척) 마을이 산 밑에 위치하며 지형이 말(斗) 형국이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복호리

연혁

  • 1896년 지도군 안창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대리 일부를 합하여 복호라 하여 무안군 안창면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안좌면에 편입
  •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

형성

  • 1730년경 경주정씨 정상원이 최초 입도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

지명유래

  • 마을에 큰 바위가 있어 감바위라 부르다가 지형이 엎드린 범의 형국이라 하여 복호라 개칭하였다.

복호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

복호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마을명, 형성년대, 입도성씨(입도조), 전거주지 및 경유지, 마을의 지명유래로 구성된 표입니다.
마을명 형성년대 입도성씨(입도조) 전 거주지
및 경유지
마을의 지명유래
복호(伏虎) 1730년경(영조대) 경주정씨(정상원) 해남
안좌(대리)
지형이 엎드린 범의 형국이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양골 1650년대(효종대)
1900년경(광무대)
김해김씨(김인기)
김해김씨(김주곤)
해남(산일)
안좌도(대척)
장산면
마을이 두 골짜기의 밑에 위치한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대리

연혁

  • 1896년 지도군 안창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산두, 존포마을의 각 일부를 합하여 대리라 하여 무안군 안창면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안좌면에 편입
  •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

형성

  • 전해오는 말에 의하면 이씨, 오씨가 최초 입도하였다고 하나 그 내역은 알 수가 없다. 이후 1660년대에 경주정씨 정도소가 이주․정착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

지명유래

  • 가장 큰 마을이라 하여 전에는 큰몰, 큰말이라 부르다가 이후 대리로 개칭하였다.

대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

대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마을명, 형성년대, 입도성씨(입도조), 전거주지 및 경유지, 마을의 지명유래로 구성된 표입니다.
마을명 형성년대 입도성씨(입도조) 전 거주지
및 경유지
마을의 지명유래
대리(大里) 1660년대(현종대) 경주정씨(정도소) 해남 큰 마을이라 하여 큰몰, 큰말 대리라 붙여진 지명이다.

자라리

연혁

  • 1896년 지도군 자라면이었으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무안군 안창면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안좌면에 편입
  •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이 분군되어 신안군에 편입

형성

  • 전해오는 말에 따르면 한양조씨, 장수황씨, 밀양이씨, 남평문씨, 천안전씨, 동복오씨, 연안차씨, 진주강씨, 김해김씨, 경주김씨 순으로 들어와 마을을 이루고 정착하였다고 함

지명유래

  • 자라도는 본섬의 지형이 자라를 닮았다는 데서 붙여진 지명임

자라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

자라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마을명, 형성년대, 입도성씨(입도조), 전거주지 및 경유지, 마을의 지명유래로 구성된 표입니다.
마을명 형성년대 입도성씨(입도조) 전 거주지
및 경유지
마을의 지명유래
자라(者羅) 조선 중기로 추정
(1506~1637년 경)
한양조씨,
장수황씨
밀양이씨(이기종),
남평문씨(문한관)
해남, 안창도 등 지형이 자라 모양이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증산(甑山) 마을 동남쪽의 산이 시루를 엎어 놓은 모양이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휴암(鵂巖) 마을의 뒷산 바위 모양이 부엉이처럼 생겼다고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존포리

연혁

  • 1896년 지도군 안창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부소마을을 합하여 존포리라 하여 무안군 안창면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안좌면에 편입
  •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

형성

  • 최초로 이씨가 이주해왔다고 전해오고 있으나 그 내역은 알 수가 없다. 이후 1800년경에 이천서씨가 이주․정착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

지명유래

  • 마을 앞에 작은 개가 있었다하여 종개라 부르다가 이후 존포로 개칭되었다.

존포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

존포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마을명, 형성년대, 입도성씨(입도조), 전거주지 및 경유지, 마을의 지명유래로 구성된 표입니다.
마을명 형성년대 입도성씨(입도조) 전 거주지
및 경유지
마을의 지명유래
존포(存浦) 1800년경(정조대) 이천서씨(서수유) 안좌도(마진) 마을 앞에 작은 개가 있었다하여 종개라 부르다가 이후 존포로 개칭되었다.
부소(扶所) 1628년경(인조대) 경주이씨(이석용) 영암 인접 도서의 부속 도서라 하여 부소도라 부르다가 이후 부소로 개칭하였다.

향목리

연혁

  • 1896년 지도군 안창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탄진, 신촌, 대리, 소흘마을의 일부를 합하여 향목이라 하여 무안군 안창면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안좌면에 편입
  •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

형성

  • 1740년경 김해김씨 김태옥이 이주․정착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

지명유래

  • 마을 앞에 향나무가 자생한다 하여 전에는 향낭그미, 향목동리라 부르다가 이후 향목이라 부르게 되었다.

향목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

향목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마을명, 형성년대, 입도성씨(입도조), 전거주지 및 경유지, 마을의 지명유래로 구성된 표입니다.
마을명 형성년대 입도성씨(입도조) 전 거주지
및 경유지
마을의 지명유래
향목(香木) 1740년(영조16) 김해김씨(김태옥) 영광(백석) 마을 앞에 향나무가 자생한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학하(鶴下) 1850년경(철종대) 김해김씨(김중우) 안좌도(향목) 향목 북쪽에 있는 마을로서 학이 잘 내려와 앉았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여흘리

연혁

  • 1896년 지도군 안창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여흘이라 하여 무안군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안좌면에 편입
  •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

형성

  • 1600년경 경주김씨 김정남이 이주․정착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

지명유래

  • 마을 서쪽에 있는 개울이 열목이라 하여 물살이 세게 흐르는 여울가로서 마을이 큰 산 밑에 위치하여 다른 마을보다 높은 곳에 있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여흘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

여흘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마을명, 형성년대, 입도성씨(입도조), 전거주지 및 경유지, 마을의 지명유래로 구성된 표입니다.
마을명 형성년대 입도성씨(입도조) 전 거주지
및 경유지
마을의 지명유래
여흘(如屹) 1600년경(선조대) 경주김씨(김정남) 나주 여울가로서 큰 산 밑에 마을이 위치하여 다른 마을보다 높은 곳에 있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남강리

연혁

  • 1896년 지도군 기좌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마등마을을 합하여 남강이라 하여 무안군 기좌면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안좌면에 편입
  •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

형성

  • 1650년경 현풍곽씨, 나주오씨가 이주․정착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

지명유래

  • 기좌 남쪽 갯가가 되므로 남강이라 하였으며 전해온 말에 의하면 옛날에 국마(國馬)를 놓아 길렀다 하여 마등(馬嶝)이라 하였다고 한다.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마을명, 형성년대, 입도성씨(입도조), 전거주지 및 경유지, 마을의 지명유래로 구성된 표입니다.
마을명 형성년대 입도성씨(입도조) 전 거주지
및 경유지
마을의 지명유래
마등(馬嶝) 1650년(효종1)
1650년경(효종대)
나주오씨(오배석)
헌풍곽씨(곽사언)
전북(고창) 국마를 놓아 길렀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열등 1750년경(영조대) 김해김씨(김운정) 안좌도(읍동) 안창을 건너 다니는 나룻가로서 마을 앞에 여울이 있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대척리

연혁

  • 1896년 지도군 기좌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소척마을을 합하여 대척이라 하여 무안군 기좌면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안좌면에 편입
  •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

형성

  • 최초로 진주하씨가 이주해 왔다고 전해오고 있으나 정확한 내역은 알 수가 없다. 이후 1690년경에 반남박씨가 이주․정착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

지명유래

  • 마을 뒷산 척산의 큰 마을이므로 전에는 큰잣매라 부르다가 대척이라 개칭하였다.

대척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

대척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마을명, 형성년대, 입도성씨(입도조), 전거주지 및 경유지, 마을의 지명유래로 구성된 표입니다.
마을명 형성년대 입도성씨(입도조) 전 거주지
및 경유지
마을의 지명유래
대척(大尺) 진주하씨 마을 뒷산 척산의 큰 마을이므로 큰잣매라 부르다가 이후 대척으로 개칭하였다.
소척(小尺) 1690년경(숙종대) 반남박씨(박필호) 척산 밑의 작은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창마리

연혁

  • 1896년 지도군 기좌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창마라 하여 무안군 기좌면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안좌면에 편입됨
  •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

형성

  • 1730년 청주한씨 한윤화가 최초 입도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

창마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

창마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마을명, 형성년대, 입도성씨(입도조), 전거주지 및 경유지, 마을의 지명유래로 구성된 표입니다.
마을명 형성년대 입도성씨(입도조) 전 거주지
및 경유지
마을의 지명유래
창마(唱馬) 1730년경(영조대) 청주한씨(한윤화) 해남(화원) 말이 춤추는 형국이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원두 1860년경(철종대) 김해김씨(김언권) 안좌도(마명) 창마 서쪽의 마을로서 언머리쪽이 된다 하여 원머리라 부르다가 이후 원두라 개칭하였다.

소곡리

연혁

  • 1896년 지도군 기좌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두리, 구대마을 일부를 합하여 소곡이라 하여 무안군 기좌면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안좌면에 편입
  •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

형성

  • 1720년경 전주이씨 이용호가 이주․정착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

지명유래

  • 둥근 산 밑에 마을이 위치한다 하여 두루메라 부르다가 이후 두리라 개칭하였다.

소곡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

소곡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마을명, 형성년대, 입도성씨(입도조), 전거주지 및 경유지, 마을의 지명유래로 구성된 표입니다.
마을명 형성년대 입도성씨(입도조) 전 거주지
및 경유지
마을의 지명유래
두리 1720년경(숙종대) 전주이씨(이용호) 팔금도 둥근 산 밑에 마을이 위치한다 하여 두루메 또는 두리라 하였다.
소곡 1640년경(인조대) 경주정씨(정춘경) 곡성, 해남 넓은 들이 있고 마을 뒤에는 골짜기로 되어있다 하여 바실이라 부르다가 이후 소곡으로 개칭하였다.

박지리

연혁

  • 1896년 지도군 자라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박지라 하여 무안군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안좌면에 편입됨
  •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

형성

  • 1700년경 김해김씨 김성택이 이주․정착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

지명유래

  • 지형이 박형국이라 바기섬, 배기섬, 배기라 부르다가 이후 박지라 개칭하였다.

박지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

박지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마을명, 형성년대, 입도성씨(입도조), 전거주지 및 경유지, 마을의 지명유래로 구성된 표입니다.
마을명 형성년대 입도성씨(입도조) 전 거주지
및 경유지
마을의 지명유래
박지 1700년경(숙종대) 김해김씨(김성택) 안좌도(남강) 마을의 형국이 박(바가지)형국이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반월리

연혁

  • 1896년 지도군 자라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토촌마을를 합하여 반월리라 하여 무안군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안좌면에 편입
  •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

형성

  • 1670년대 인동장씨 장남이 이주․정착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

지명유래

  • 지형이 반달형이라 하여 처음에는 반월이라 하였으며 가장 큰 마을이라 하여 큰몰, 대리라고도 부르고 있다.

반월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

반월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마을명, 형성년대, 입도성씨(입도조), 전거주지 및 경유지, 마을의 지명유래로 구성된 표입니다.
마을명 형성년대 입도성씨(입도조) 전 거주지
및 경유지
마을의 지명유래
반월(半月) 1670년경(현종대)
1750년경(영조대)
인동장씨(장남)
경주최씨(최두홍)
경상도(인동)
영암(시종)
지형이 반달형이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퇴촌 1770년경(영조대) 김해김씨(김문필) 안좌도(대리) 지형이 반월도를 바라보는 옥토끼 같다 하여 토촌(免村)이라 부르다가 퇴촌이라 개칭되었다.

구대리

연혁

  • 1896년 지도군 기좌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우목도 두리마을의 일부지역을 합하여 구대라하여 무안군 기좌면에 편입하였다가 1917년 안좌면에 편입
  •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

형성

  • 전해오는 말에 의하면 천씨, 박씨, 오씨가 이주하여 살았다고 전해오고 있으나 그 내역은 알 수가 없다. 이후 1740년대 동복오씨 오윤진이 이주․정착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

지명유래

  • 옛날부터 사람이 살았던 집터가 있었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구대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

구대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마을명, 형성년대, 입도성씨(입도조), 전거주지 및 경유지, 마을의 지명유래로 구성된 표입니다.
마을명 형성년대 입도성씨(입도조) 전 거주지
및 경유지
마을의 지명유래
구대(舊垈) 1740년(영조16) 천씨, 박씨
동복오씨(오윤진)
팔금도 옛부터 사람이 살았던 집터가 있었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내우목(內牛目) 1730년경(영조대) 안씨, 오씨
김해김씨(김운정)
영암(구림) 마을 지형이 소의 눈처럼 생겼으며 안쪽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외우목(外牛目) 1740년경(영조대) 김해김씨(김장서) 내우목 마을 지형이 소의 눈처럼 생겼으며 위치가 바깥쪽이 된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마명리

연혁

  • 1896년 지도군 기좌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마명이라 하여 무안군 기좌면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안좌면에 편입
  •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

형성

  • 1660년경에 진주정씨 정기원이 이주․정착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

지명유래

  • 매봉산 밑 들 옆이 되므로 전에는 매우리, 매워리라 불렀으나 매봉산 초장에서 키운 말의 울음소리가 잦다하여 마명이라 개칭하였다.

마명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

마명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마을명, 형성년대, 입도성씨(입도조), 전거주지 및 경유지, 마을의 지명유래로 구성된 표입니다.
마을명 형성년대 입도성씨(입도조) 전 거주지
및 경유지
마을의 지명유래
마명(馬鳴) 1660년경(현종대) 진주정씨(정기원) 보성 매봉산 밑 들 옆이 된다하여 매우리, 매워리라 부르다가 이후 말의 울음소리가 잦다 하여 마명이라 개칭하였다.

신촌리

연혁

  • 1896년 지도군 기좌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치동을 합하여 신촌이라 해서 무안군 기좌면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안좌면에 편입
  •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

형성

  • 1660년경 나주오씨 형제가 기좌면으로 이주하여 동생인 오백석은 읍동으로, 형인 오용석은 신촌으로 이주․정착하고 김해김씨 김상윤이 이후 이주․정착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

지명유래

  • 마을이 새로 형성되었다 하여 새몰이라 부르다가 이후 신촌이라 개칭하였다.

신촌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

신촌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마을명, 형성년대, 입도성씨(입도조), 전거주지 및 경유지, 마을의 지명유래로 구성된 표입니다.
마을명 형성년대 입도성씨(입도조) 전 거주지
및 경유지
마을의 지명유래
신촌(新村) 1660년경(현종대) 나주오씨(오용석) 전북(고창) 마을이 새로 형성되었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대금 1830년(순조30) 김해김씨(김윤상) 안좌도(읍동) 지형이 꿩머리 형국이라 하여 치동(雉]洞)이라 부르다가 이후 대금이라 개칭하였다.

대우리

연혁

  • 1896년 지도군 기좌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소우동, 비화마을을 합하여 대우라 하여 무안군 기좌면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안좌면에 편입

형성

  • 전해오는 말에 의하면 최초로 추씨가 이주해 왔다고 하나 그 내역은 알 수가 없다. 이후 1750년경 경주최씨 최두성이 이주․정착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

대우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

대우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마을명, 형성년대, 입도성씨(입도조), 전거주지 및 경유지, 마을의 지명유래로 구성된 표입니다.
마을명 형성년대 입도성씨(입도조) 전 거주지
및 경유지
마을의 지명유래
대우(大芋) 1750년경(영조대) 경주최씨(최두성) 영암(시종) 부엉이가 많은 큰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비화(飛和) 1800년경(정조대) 경주최씨(최창수) 안좌도(대우) 지형이 사두처럼 생겼다 하여 비아목이라 부르다가 이후 비하라 개칭하였다.

방월리

연혁

  • 1896년 지도군 기좌면의 지역을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전진, 한운마을의 일부를 합하여 방월리라 하여 무안군 기좌면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안좌면에 편입
  •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

형성

  • 선사유물인 지석묘 41기가 집중 분포되어 있어 사람이 거주한 시기는 약 2천여년 전으로 추정된다. 이후 1670년경에 경주정씨 정우일 이주․정착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

지명유래

  • 전에는 달이 뒷산인 봉산에 걸리는 마을이라 하여 방월(傍月)이라 부르다가 이후 방월(方月)로 개칭하였다.

방월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

방월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마을명, 형성년대, 입도성씨(입도조), 전거주지 및 경유지, 마을의 지명유래로 구성된 표입니다.
마을명 형성년대 입도성씨(입도조) 전 거주지
및 경유지
마을의 지명유래
방월(方月) 1670년경(현종대) 경주정씨(정우일) 장산도 달이 뒷산인 봉산에 걸리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전진(前進) 1680년(숙종6)
1780년(정조4)
번남박씨, 장택고씨
김해김씨(김기탁)
마을 둿산인 진머리 바깥쪽이 된다 하여 발진머리라 부르다가 이후 전진이라 개칭하였다.

내호리

연혁

  • 1896년 지도군 기좌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외호리를 합하여 내호라하여 무안군 기좌면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안좌면에 편입
  •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

형성

  • 1660년경 밀양손씨 손명세가 이주․정착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

지명유래

  • 소와섬의 안쪽 섬이라 하여 안소라 부르다가 내호라 개칭하였다.

내호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

내호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마을명, 형성년대, 입도성씨(입도조), 전거주지 및 경유지, 마을의 지명유래로 구성된 표입니다.
마을명 형성년대 입도성씨(입도조) 전 거주지
및 경유지
마을의 지명유래
내호(內湖) 1660년경(현종대) 밀양손씨(손명세) 비금도 소와섬(송도)의 안쪽 섬이라 하여 안소라 부르다가 이후 개칭하였다.
외호(外湖) 1670년경(현종대) 단양우씨(우명회) 영암(서호) 소와섬의 바깥쪽이 된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한운리

연혁

  • 1896년 지도군 기좌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사치마을을 합하여 한운이라 하여 무안군 기좌면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안좌면에 편입

형성

  • 1690년경 김해김씨 김연이 최초로 이주․정착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

지명유래

  • 마을 위치가 서쪽(하늬)에 있다하여 하누이라 부르다가 이후 한운이라 개칭하였다.

한운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

한운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마을명, 형성년대, 입도성씨(입도조), 전거주지 및 경유지, 마을의 지명유래로 구성된 표입니다.
마을명 형성년대 입도성씨(입도조) 전 거주지
및 경유지
마을의 지명유래
한운(閑雲) 1690년경(숙종대) 김해김씨(김연) 해남 마을이 서쪽(하늬)에 위치한다하여 하누이라 부르다가 개칭하였다.
사치(沙雉) 1630년경(인조대) 하동정씨(정운백) 해남(옥천) 모래가 많은 곳으로 지형이 꿩 형국이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시서리

연혁

  • 1896년 지도군 기좌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시동마을을 합하여 시서리라 하여 무안군 기좌면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안좌면에 편입
  •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에서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

형성

  • 1740년경 해주오씨 오동흥이 이주․정착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

지명유래

  • 마을에 감나무가 많이 자생한다 하여 감나무골이라 부르다가 이후 서쪽 마을이라 하여 시서라 개칭하였다.

시서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

시서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마을명, 형성년대, 입도성씨(입도조), 전거주지 및 경유지, 마을의 지명유래로 구성된 표입니다.
마을명 형성년대 입도성씨(입도조) 전 거주지
및 경유지
마을의 지명유래
시서(柿西) 1740년경(영조대) 해주오씨(오동흥) 나주 마을에 감나무가 많이 자생한다 하여 감나무골이라 부르다가 이후 시서로 개칭하였다.
오동 1820년경(순조대) 파평윤씨(윤갑규) 비금도(덕산) 오동나무가 많이 자생한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읍동리

연혁

  • 1896년 지도군 기좌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와우마을을 합하여 읍동리라 해서 무안군 기좌면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안좌면에 편입
  •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의 분군으로 신안군에 편입

형성

  • 1660년경 나주오씨 오백석이 이주․정착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

지명유래

  • 마을의 위치가 골짜기 안쪽이라 하여 전에는 골안이라 부르다가 이후 면의 중심 마을이라 하여 읍동이라 개칭하였다.

읍동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

읍동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마을명, 형성년대, 입도성씨(입도조), 전거주지 및 경유지, 마을의 지명유래로 구성된 표입니다.
마을명 형성년대 입도성씨(입도조) 전 거주지
및 경유지
마을의 지명유래
읍동(邑洞) 1660년경(현종대) 나주오씨(오백석) 전북(고창) 마을 위치가 골짜기 안이라 하여 골안이라 부르다가 이후 읍동으로 개칭하였다.
연진 1760년경(영조대) 나주오씨(오흥원) 안좌도(읍동) 마을 앞에 배가 드나들었다고 하여 배너리 또는 연진이라 하였다.
앞너리 1960년 김해김씨(김창기) 안좌도(읍동) 앞에 나루가 있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와우(臥牛) 1690년경(숙종대) 나주오씨(오성원) 안좌도(남강)
안좌도(읍동)
지형이 소가 한가로이 누워있는 형국이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마진리

연혁

  • 1896년 지도군 기좌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광남, 시동마을의 일부를 합하여 마진이라 하여 무안군 기좌면에 편입되었다가 1917년 안좌면에 편입

형성

  • 1780년경 양성이씨 이강하의 아들 이창무가 팔금 대심에서 분가하여 이곳에 이주, 정착 마을이 형성되었다.

지명유래

  • 말 모양으로 된 섬이고 나루가 있으므로 전에는 몰나리, 몰노리, 모노리라 부르다가 이후 마진이라 개칭하였다.

마진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

마진리 마을의 형성과 지명유래-마을명, 형성년대, 입도성씨(입도조), 전거주지 및 경유지, 마을의 지명유래로 구성된 표입니다.
마을명 형성년대 입도성씨(입도조) 전 거주지
및 경유지
마을의 지명유래
마진(馬津) 1780년경(정조대) 양성이씨(이창무) 팔금도(대심) 전에는 몰나리, 몰노리, 모노리라 부르다가 이후 마진이라 개칭하였다.
광암(廣岩) 1730년경(영조대) 전주최씨(최운성) 팔금도 넓은 바위가 있다 하여 붙여진 지명이다.
공공누리 저작물 표시 유형4

'공공누리 저작물 표시 유형4'에 따라 본 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출처와 저작권자 표시를 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