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게시판

  • 트위터
  • 페이스북
  • 구글
  • RSS
  • 현 페이지 엑셀로 다운
  • 현 페이지 워드로 다운
  • 현 페이지 인쇄
4차 메뉴 정의
글 내용보기
22042 526
안제훈 2015-10-06 22:08:00
토양학3D) 도시농업의 경제적 생태적 사회적 가치를 친환경도시와연계하여 기술하시오
다운받기

http://sales.happyreport.co.kr/loblueol/20150920010141





토양학3D) 도시농업의 경제적 생태적 사회적 가치를 친환경도시와연계하여 기술하시오0k

토양학3D) 도시농업의 경제적 생태적.hwp

해당 자료는 해피레포트에서 유료결제 후 열람이 가능합니다.

분량 : 12 페이지 /hwp 파일
설명 : 토양학3D) 도시농업의 경제적 생태적 사회적 가치를 친환경도시와연계하여 기술하시오0k

농학과 토양학3D

도시농업의 경제적, 생태적, 사회적 가치를 친환경도시와 연계하여 기술하시오.

좀 더 업그레이드하여 자료를 보완하여,
과제물을 꼼꼼하게 정성을 들어 작성했습니다.
제 자료가 구입자분에게 꼭 필요한 내용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위 자료 요약정리 잘되어 있으니 잘 참고하시어
학업에 나날이 발전이 있기를 기원합니다 ^^
구입자 분의 앞날에 항상 무궁한 발전과 행복과 행운이 깃들기를 홧팅^^

Ⅰ. 서 론

오늘날 우리 농업은 여러 가지 최첨단의 장비를 활용하여 농사를 짓고 있다. 즉, 자연에 의존한 단순한 농산물 생산이 아니라 가능한 모든 최고의 자재와 시설을 동원하여 상품성이 높은 농산물을 최대한으로 많이 생산하며, 판매와 유통 전략까지 계산하고 농사를 짓게 되었다. 어느 면에서는 현재의 우리 농업은 과거 어느 때보다 한발 더 성숙하기 위한 활기 찬 변환의 과정을 겪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농업을 보는 눈에 따라서, 또는 처해 있는 입장에 따라서, 우리는 희망과 도전의 자신감에서부터, 절망의 나락으로 떨어짐에 이르기까지 천차만별인 것이다. 따라서 경쟁력 있는 농사를 지으려면 좋은 퇴비와 비료 등을 잘 사용하여 땅의 지력을 강화 시켜야만 가능할 것이다.
즉, 농사를 지을 때 농부가 퇴비와 비료 등을 적당히 주어야 농사가 잘 된다. 그렇지 않으면 농사에 있어 수확이 제대로 되지 않아 농부의 정성이 헛되기도 한다. 따라서 최소의 노력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기 위하여 무기질 화학비료와 유기질 비료를 적당히 사용하면 땅의 지력도 강화시키고 농사도 잘되기도 한다.
요즘 현대인들이 농업에 대한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농사짓는 것을 매우 즐거워 하고 있다. 실지로 원래는 모든 인간이 농업을 위주로 살았으나 직장을 따라 도시에서 생활하게 되 현대인들이 농업을 등한시 하게 되었다. 그러나 실지로 도시에서 생활을 해보니 도시의 비대화을 통한 극심한 환경오염과 각 개인적인 생활을 통한 개인주의 등의 심각한 문제를 겪으면서 다시 농촌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마음이 생겨 농촌에서의 건강과 여유, 맑은 공기를 제공하는 환경, 주관적 삶의 질, 상생나눔 등의 가치를 추구하는 흐름이 생기면서 도시가 농(農)을 만나기 시작했다. 이 장에서는 도시농업의 경제적, 생태적, 사회적 가치를 친환경도시와 연계하여 기술하기로 하자.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도시농업에 대한 소고
1) 도시농업의 유익한 점
(1) 몸과 마음의 건강
(2) 가꾸는 즐거움
(3) 뿌듯한 자부심
(4) 먹는 즐거움
(5) 나누는 행복
2) 도시농업의 가치
(1) 녹지공간 확보
(2) 경관제공
(3) 도시환경개선
(4) 안전한 먹거리 확보



2. 도시농업의 경제적 생태적 사회적 가치
1) 경제적 가치
(1) 관련산업 활성화
(2) 일자리 창출
(3) 공한지 효율적활용
(4) 에너지 절약
(5) 여가활동

2) 생태적 가치
(1) 생태계 복원
(2) 열섬현상 완화
(3) 기상재해 예방

3) 사회적 가치
(1) 공동체의식
(2) 식량안보
(3) 가족 간 화합
(4) 주변인과의 소통
(5) 시민 건강증진
3. 시사점
Ⅲ. 결 론
참고자료

-김정곤, 도시농업, 지속가능 도시 출현, 월간 환경 2008.11
김진덕.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한 도시농업 네트워크의 역할, 일조각, 2011
-김복진, 2011, 한국토양비료학회의 계간지인 토양과비료, 영남대 자연자원대학
- 박진도, WTO체제와 농정개혁, 한울아카데미, 2005
-임동규 『가축분뇨 액비화 처리 및 이용기술 』 농업과학기술원
-정경화, “지속가능개발을 위한 무역․환경 연계조치”, 경희대학교 국제법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8, 6쪽.
-박석근, 황환주, “서울근교 관광농원 및 주말농장의 원예작물 재배현황과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관광학회, 「관광농업연구」, 1996,
-이애경,이시래,서정근, “주말농장 생활원예 행태에 관한 연구”, 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 「植物․人間․環境」,2000,
-강기남, 이종근, 김기황, 이만영, “텃밭을 이용한 도시농업의 활성화 방안”, 충북대학교 건설기술연구소, 「건설기술논문집」, 2007.
-장동헌, “도시농업의 영농실태와 존속 가능성 모색”, 한국지역사회학회, 「지역사회연구」, 2007.
-장동헌, “도시농업 육성의 정책적 함의”, 한국산업경제학회, 「산업경제연구」, 2009.
-소순열, 장동헌, “도시농업의 경영형태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 연구소, 「농업생명과학연구」, 2005.
-송정섭, 한승원, 유은하, 정순진, 정명일, “도시농업의 매력과 가치”, 「RDA Interrobang」



출처 : 해피레포트 자료실


관리자 메모 555
  • 목록
  • 실명인증 후 글쓰기

의견쓰기

0 개의 의견이 있습니다.

의견저장
QR CODE
  • 왼쪽 QR Code 이미지를 스마트폰에 인식시키면 자동으로 이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 이 QR Code는 『자유게시판 22042번』의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의 QR Code 이미지 https://www.shinan.go.kr/_wscms30/plugin/qrcode/php/qr_img.php?d=https://www.shinan.go.kr/q/ezQyNDV8MjIwNDJ8c2hvd3xwYWdlPTExNTF9&e=M&s=3
담당자
  • 고향사랑지원과 전산통신팀 문근영061-240-8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