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게시판

  • 트위터
  • 페이스북
  • 구글
  • RSS
  • 현 페이지 엑셀로 다운
  • 현 페이지 워드로 다운
  • 현 페이지 인쇄
4차 메뉴 정의
글 내용보기
27601 1716
서창덕 2016-06-11 11:12:00
흑산도 아가씨 섬마을 선생님 극락도살인사건 기리고 김복남 살인사건
섬마을의 사람들과 섬에 근무한 경험이 있는 여자공무원들의 남편들
자기와 좀 다르게 생긴 자식들 있으면
유전자 검사 한번 해보는게 좋을것 같네요
하긴 알아도 쉬쉬해야 모두가 편하게 살아갈수 있다고 생각하겠지요
흑산도 아가씨, 섬마을 선생님 등 이미자님의 아름다운 노래 이제는 들으면
성폭행 마을, 염전노예. 다방여종원 인신매매, 관광온 대학생커플을 성폭행하려다 살해한 할아버지,
김복남 살인사건이 떠오르네요


[퍼옴]신안 성폭행 사건에 떠오르는 ‘극락도 살인사건’…“소름”

감독 “촬영 중 20대 男 교사 시신 발견돼”cnbnews 강소영기자⁄ 2016.06.10 14:33:48

촬영 당시 신안군 섬에서 실제 시신을 발견한 사실이 재조명되고 있다. (사진=극락도 살인사건 스틸컷) ">
신안 성폭행 사건이 온 사회를 떠들썩하게 만들자, 섬에서 일어난 사건을 모티프로 한 영화 <극락도 살인사건>현장에서 시신이 발견된 사실이 재조명받고 있다.

영화 <극락도 살인사건>은 지난 1986년 전남 신안군 자은면 두리도에서 일어난 사건을 모티프로 만들어졌다는 것이 인터넷에 알려진 부분이다. 제작진은 영화를 찍기위해 4개월간 신안군 섬에서 머무른 것으로 알려졌다.
<극락도 살인사건> 김한민 감독은 지난 2007년 3월 열린 제작보고회 당시 “2차 촬영을 위해 부둣가에 갔더니 늦여름쯤 섬에 왔다가 실종된 20대 후반 남자 교사의 시신이 해변가에서 발견됐다. 주민들은 촬영에 쓰이는 더미인 줄 알았으나 실제 사람의 시신이어서 놀랬다”고 전했다.

<극락도 살인사건>은 고립된 작은 섬주민 17명이 사는 극락도에서 끔찍한 살인사건과 함께 오해와 불신이 쌓이면서 주민들이 흔적도 없이 사라지는 내용을 담고 있다.

당시 지역민들은 영화사를 상대로 “영화가 실제처럼 묘사되어 본인들의 주 생계인 관광업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며 항의하는 등 강하게 반발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사실을 접한 누리꾼들은 “우연의 일치라기엔 너무 소름끼친다” “제발 섬에서 사라지는 이들이 없어야 할텐데” “그 이후 섬의 분위기는 어땠을까” 등의 반응을 보였다.

▲ CNB뉴스, CNBNEWS, 씨앤비뉴스


관리자 메모 555
  • 목록
  • 실명인증 후 글쓰기

의견쓰기

1 개의 의견이 있습니다.

의견저장
서창덕
2016-06-11 11:17:38
원래 섬마을이나 해안가 사람들이 간에 붙었다 쓸개에 붙었다 하는 이유는
역사와 지리적 환경 때문이라고 합니다
수많은 왜구의 침입때문에 얼마나 당했겠습니까
그때 왜구들은 지금보다 훨씬 미개인이었고 짐승이나 다름없었지요
그러니 그들은 상륙하면 우선 여자들부터 급탈했겠지여
그리고 반항하면 가차없이 죽여버리고......
그러나 그 지역의 사람들이 목숨 부지하자니 
여기 붙었다 저기 붙었다 할수밖에 없는 현실이지요
그런 의식이 지금까지  그들의 DNA에 각인되어 있는것일 겁니다
QR CODE
  • 왼쪽 QR Code 이미지를 스마트폰에 인식시키면 자동으로 이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 이 QR Code는 『자유게시판 27601번』의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의 QR Code 이미지 https://www.shinan.go.kr/_wscms30/plugin/qrcode/php/qr_img.php?d=https://www.shinan.go.kr/q/ezQyNDV8Mjc2MDF8c2hvd3xwYWdlPTk2N30=&e=M&s=3
담당자
  • 고향사랑지원과 전산통신팀 문근영061-240-8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