쯔쯔가무시증
정의 : 쯔쯔가무시균 감염에 의한 급성 발열성 질환
매개체 : 털진드기 진드기 유충
전파경로 : 쯔쯔가무시균에 감염된 털진드기 유충에 사람이 물려 감염됨(사람 간 전파 없음)
잠복기 : 1~3주(9~18일)
호발시기 : 10~12월
호발대상 : 50대 이상(경남>전남>충남 지역 발생비율 높음)
임상 증상
- 주요증상: 발열, 가피, 반점상 발진, 림프절 종대, 심한 두통, 발열, 오한이 갑자기 발생하며 감기와 유사
- 발병 3~7일 후 몸통, 사지에 반점상 발진이 나타나 1~2주일 후 소실
- 진드기 유충에 물린 부위에 나타나는 가치 형성이 특징적(진단에 중요), 소화기, 호흡기, 중추신경계 등 다양한 전신 증상이 동반될 수 있음
치료 : 항생제 치료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정의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질환
매개체 : 작은소피참진드기, 개피참진드기, 뭉뚝참진드기, 일본참진드기 등
감염경로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바이러스에 감염된 진드기에 물려서 감염(사람 간 전파 보고됨)
잠복기 : 4~15일
호발시기 : 4월~11월
호발대상 : 주로 50대 이상
임상 증상
- 주증상: 38℃이상의 고열과 위장관계 증상(오심, 구토, 설사, 식욕부진 등)
- 혈소판, 백혈구 감소에 따른 출혈성 소인(혈뇨, 혈변 등) 발생, 피로감, 신경학적 증상(근육통, 말어눌, 경련, 의식저하) 동반
치료 : 대증치료
라임병
정의 : 보렐리아속균 감염에 의한 진드기 매개 질환
매개체 : 참진드기 및 피참진드기
감염경로 : 감염된 참진드기가 사람을 물어 전파됨
잠복기 : 3~30일
호발시기 : 여름철
임상 증상 : 유주성 홍반(과녁 모양), 발열, 오한, 피로감, 두통, 관절통 등
치료 : 항생제 치료
진드기매개뇌염
정의 : 진드기매개뇌염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질환
매개체 : 참진드기 및 피참진드기 등
감염경로 : 바이러스에 감염된 진드기가 사람을 물어 감염, 일부 멸균처리가 제대로 되지 않은 우유 섭취(사람 간 감염 보고 없음)
잠복기 : 약 8일(4~28일)
호발시기 : 4~11월
호발대상 : 위험지역 여행객 및 진드기에 노출되기 쉬운 야생지역 업무종사자
임상증상 : 발열, 권태감, 식욕부진, 근육통, 두통, 오심, 구토, 중추신경계 증상 발생 가능
치료 : 특별한 치료법이나 치료약이 없고, 증상에 따른 대증치료
진드기 매개질환 예방수칙 및 주의사항
농업인 예방수칙 | 야외활동인 예방수칙 |
---|---|
[평상시 및 농작업 전] ① 적정 농작업복(긴 팔, 긴 바지, 모자, 목수건, 토시, 장갑, 목이 긴 양말, 장화를 구비 및 작업 시 항상 착용 ② 농경지 및 그 주변과 주거지 및 그 주변 풀숲 제거 ③ 진드기 기피제 보조적으로 사용 [농작업 중] ① 보조도구 이용: 농작업용 앞치마, 농작업용 방석, 휴식 시 돗자리 사용 ② 기피제 효능 지속시간을 고려하여 주기적으로 사용 ③ 풀숲에 옷 벗어놓지 않기, 풀숲에 앉지 않기 ④ 풀숲에서 용변 보지 않기 [농작업 후] ① 귀가 즉시 농작업복 일체 세탁하기(평상복과 분리 세탁) ② 귀가 즉시 입욕 및 샤워하기(온몸을 꼼꼼히 씻기) ③ 몸에 벌레 물린 상처(또는 검은딱지)또는 진드기가 물고 있지 않은지 확인하기 |
[야외활동 전] ① 적정 복장(긴 팔, 긴 바지, 모자, 목수건, 장갑, 목이 긴 양말, 등산화 등)을 구비하여 착용 ② 진드기 기피제 보조적으로 사용 [야외활동 중] ① 휴식 시 기피제를 뿌린 돗자리 사용 ② 기피제 효능 지속시간을 고려하여 주기적으로 사용 ③ 풀숲에 옷 벗어놓지 않기, 풀숲에 앉지 않기 ④ 풀숲에서 용변 보지 않기 [야외활동 후] ① 귀가 즉시 활동복 일체 세탁하기 ② 귀가 즉시 입욕 및 샤워하기(온몸을 꼼꼼히 씻기) ③ 몸에 벌레 물린 상처(또는 검은딱지)또는 진드기가 물고 있지 않은지 확인하기 |
